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수원 계열 인천연료전지, 주민 반발로 '발전소 지연' 장기화

공유
2

한수원 계열 인천연료전지, 주민 반발로 '발전소 지연' 장기화

인천연료전지, 공원조성 제안 등 주민 반대 무마 위해 안간힘
지역주민, 사업 백지화 고수...사업 무산되면 파산 불가피

인천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조감도.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인천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조감도.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지분 60%를 보유하고 있는 특수목적법인(SPC) '인천연료전지'가 당국의 사업 인허가를 받고도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 부딪혀 사업 개시를 위한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1일 인천연료전지와 업계에 따르면, 인천 '동구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립반대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와 인천시, 인천 동구는 인천시 동구에 건립 예정인 수소연료전지발전소의 안전성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기관을 섭외하고 있지만 아직 마땅한 기관을 찾지 못하고 있다.
최근 인천시와 동구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를 연구용역기관으로 선정하려 했으나 비대위는 KIST가 지난 4월 수소연료전지발전이 안전하다는 내용의 문건을 작성했다는 이유로 반대해 연구기관 선정이 무산됐다.

김종호 비대위 공동대표는 지난 24일 인천대학교가 주최한 '인천공공성플랫폼 제6차 지역현안토론회'에 참석해 연료전지발전소 건립을 반대하는 한편 인천시의 위기관리시스템과 소통문제 등을 지적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지난 5월과 6월 연료전지발전소 건립을 반대하며 인천시청 앞에서 30일간이나 단식농성을 벌이기도 했다.

인천 동구 송림동 일반공업지역에 설립 예정인 39.6메가와트(MW) 규모의 수소연료전지발전소 건설사업은 2017년 6월 한수원·삼천리·두산건설, 인천종합에너지 등 4개 기업과 인천시·인천동구가 사업추진 양해각서를 체결하면서 시작됐다.

인천연료전지는 한수원이 60%, 두산건설·삼천리가 각각 20%의 지분구조로 총 2347억 원을 투자해 지난해 8월 설립했다.

이 사업은 2017년과 지난해에 걸쳐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발전사업 허가와 공사계획 인가를 받았고 지난해 12월에는 인천동구로부터 인천연료전지 사무동 건축허가도 받았다.
사업을 위한 당국의 인허가를 모두 받은 인천연료전지는 지난해 12월 착공해 2020년 이 발전소를 완공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문제는 이 기간동안 주민의견수렴절차가 없었고 사업추진이 뒤늦게 알려진 탓에 주민들의 반발이 더 거세진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지난 1월 사업부지 인근주민들은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 사업 백지화 투쟁에 나섰다.

주민들은 수소폭발 위험뿐 아니라 천연가스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과정에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된다며 발전소 부지에서 200~300m밖에 떨어지지 않은 아파트 주민들은 오염물질에 노출되고 집값 하락 등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인천연료전지 관계자는 수소연료전지발전소에는 최근 폭발사고가 발생한 강릉 수소저장탱크와 같은 수소저장시설이 없으며 따라서 폭발위험도 없다고 해명했다.

또 소음이나 전자파, 악취, 오·폐수 배출도 거의 없기 때문에 집값에 미치는 영향도 미미하다고 반박했다.

인천연료전지는 비대위측에 발전소와 아파트 사이에 공원 조성, 주민펀드 조성, 주민감시단 구성 등 지역상생방안을 제안했지만 사업 백지화를 주장하는 비대위측과 견해차를 좁히는데 실패해 지금까지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최근 비대위, 인천시, 동구는 공인전문기관에 의뢰해 안전성 입증을 위한 연구를 진행한 후 안전성과 친환경성이 입증되면 연료전지를 가동하기로 합의했지만 이를 수행할 연구기관 선정에 애를 먹고 있다.

업계에서는 인천연료전지가 이 사업을 위해 설립된 SPC인 만큼 사업이 백지화될 경우 인천연료전지는 파산할 수밖에 없으며 이미 투입된 145억 원의 매몰비용은 한수원과 두산건설, 삼천리의 부담이 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