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뉴스人]정만기 전 산업부 차관 "가치경쟁력으로 중국 추격 따돌려야"

공유
0

[뉴스人]정만기 전 산업부 차관 "가치경쟁력으로 중국 추격 따돌려야"

-일대일 맞춤형 생산체계 구축, R&D 생산성 높여야

정만기 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정만기 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글로벌이코노믹 오소영 기자] 국제통화기구(IMF)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내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2.9%로 제시했다. 잠제성장세가 한풀 꺾이며 ‘3%’ 벽이 뚫릴 것이란 분석이다. IMF는 2020년 성장률이 2.6%까지 떨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처럼 대내외적으로 한국 경제에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지난 1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만난 정만기 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역시 “중장기적으로 성장세가 둔화될 전망”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정 전 차관이 회장을 맡은 글로벌산업경쟁력포럼은 한국 산업이 직면한 위기를 점검하고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포럼을 열었다.

정 전 차관은 본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수출이 호황이라고 하나 반도체 쏠림 현상이 심하다”며 “중국의 추격, 선진국의 제조업 경쟁력 강화 등으로 중장기 전망은 그리 밝지 않다”고 지적했다.

특히 중국은 철강과 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에서 공급과잉을 주도하고 있다. 철강의 경우 2004년 1억t에 불과하던 중국의 조강생산능력이 2015년 11억5000만t으로 늘었다. 작년 LCD 생산능력 점유율도 중국이 35%로 한국(27%)을 추월했다.

정 전 차관은 “로봇 기술 수준은 중국이 우리나라보다 2년 정도 앞선다”며 “수소차와 전기차 등 첨단 산업에서 중국의 추격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 전 차관은 국내 제조업이 ‘가치경쟁력’으로 승부수를 봐야 한다고 조언한다. 그간 제조업은 낮은 인건비와 장시간 노동에 의존해왔다. 하지만 최저임금이 오르고 근로시간이 단축되며 가격경쟁력을 상실하고 있다.

정 전 차관은 “가치경쟁력은 가격이 비싸더라도 살 수밖에 없는 고유한 가치를 지닌 상품, 브랜드 등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가치경쟁력을 제고하고자 그가 뽑은 과제는 일대일 맞춤형 생산체계의 조기 구현이다. 일대일 맞춤형 생산체계란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등을 활용해 개인의 기호에 맞춘 제품을 생산하는 시스템이다.

정 전 차관은 “일대일 맞춤형 생산 시대에는 문제해결 능력과 컴퓨터 지식을 갖춘 우수한 인재를 필요로 하므로 개발도상국에서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 국내로 돌아오는 효과도 있다”라고 말했다.

아울러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재편, 연구개발(R&D) 생산성 강화도 주요 과제로 꼽았다.

정 전 차관은 “철강과 조선 등 중국발 공급과잉에 직면한 산업들은 기업활력 제고를 위한 특별법(기업활력법)을 통해 고부가 제품을 생산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R&D는 과제 선정부터 기업이 주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독일의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주로 기업의 위탁을 받아 기술 상용화를 위한 R&D를 수행한다. 전체 연구비 중 기업 연구비가 3분의 1을 차지한다.


오소영 기자 osy@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