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이코노믹 기사 프린트하기 프린트하기 닫기

한국 최초의 기차 이름은 '모갈 1호'…'거물' '거인' 의미

노량진서 인천까지 20㎞ 속도로 33㎞ 운행

2등 보통 칸 요금 80전(2만5000원)의 거금


서양이건 동양이건 근대화로 상징되는 많은 것들 중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드는 것은 단연코 레일 위의 기차일 것입니다. 기차라는 운송수단은 대량의 물자 교류는 물론 먼 곳까지 사람들의 왕래를 빠르게 하여 자본주의 산업화의 첨병으로 불렸던 것이지요.
이러한 기차가 우리나라에 처음으로 등장한 때는 1899년이었습니다.

1899년 9월 18일 오전 9시 서울 노량진역에는 휘장과 깃발을 두른 증기기관 기차가 금방이라도 내달릴 듯 흰 연기를 내뿜고 있습니다. 그리고 얼마 후 기차는 천지가 진동할 만큼 큰 기적 소리를 내며 경인선의 시발이 되는 인천역을 향해 미끄러지듯 역사를 빠져 나갑니다. 바야흐로 한국 철도사의 첫 바퀴를 굴리는 순간이었지요.

당시 이 기차의 이름은 ‘모갈 1호’였는데 모갈(Mogul)은 ‘거물’ 또는 ‘거인’의 뜻이었지만 발음이 낯설어 사람들은 모갈이라고 부르기보다는 그냥 ‘불’을 때서 가는 기차라 하여 <화차> 혹은 <화륜거>라 했습니다.

이미지중앙
개통 다음날인 9월 19일 독립신문에 경인선 시승기가 실렸는데 일부를 소개해 보겠습니다.

“... 화륜거 구르는 소리는 우레와 같아 천지가 진동하고 기관거의 굴뚝 연기는 반공에 솟아오르더라, 수레를 각기 방 한 칸씩 되게 만들어 여러 수레를 철구로 연결하여 수미상접하게 이었는데, 수레 속은 상중하 3등으로 수장하여 그 안에 배포한 것과 그밖에 치장한 것은 이루다 형언할 수 없더라. 수레 속에 앉아 영창으로 내다보니 산천초목이 모두 활동하여 닿는 것 같고 나는 새도 미처 따르지 못하더라...”

기차를 처음 접해본 당시 사람들로서는 상당히 놀랐을 것입니다.
아무튼 인천을 향해 떠난 모갈1호는 선두에 기관차를 두고 3량의 목재 객차를 이었는데 1등 객차는 외국인 전용으로 1원 50전, 2등 칸은 일반 내국인용으로 80전, 3등 칸은 여성용으로 40전을 내야 했습니다.

노량진을 떠난 모갈1호는 종점인 인천역까지 평균시속 20㎞/h로 33㎞를 달렸으며 소요시간은 1시간 40분이었습니다.

지금 생각하면 꽤나 느린 속도이겠지만 당시 인천에서 노량진까지는 뱃길로 9시간, 도보로는 12시간 이상 걸리는 것을 감안하면 1시간 40분은 정말로 빠른 시간이 아닐 수 없겠지요.

그러나 이처럼 빠르고 편한 기차가 개통되었어도 초기에는 승객이 없어서 승무원들의 월급을 주지 못해 데모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그 이유는 두 가지였습니다. 첫째는 비싼 요금이었고, 두 번째는 일본인이 경영하는 기차였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했지만 주로 일반인이 사용하는 2등 보통 칸 요금은 80전인데 지금으로 환산하면 2만5000원의 거금이라 한 끼 밥값 5전(현재 1500원)의 당시 사람들로서는 선뜻 이용하기 어려웠습니다.

또한 일본인에 대한 거부감도 한몫했는데, 그 이유는 개통 당시로부터 5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894년 청일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 내 철도부설권 확보 등 노골적으로 조선에 대한 침탈야욕을 드러내는데, 이를 견제하고 제동을 건 분이 당시의 국모인 명성황후이셨습니다. 일본은 이 분이 계시는 한 자신들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1895년 궁궐로 들어와 참혹하게 명성황후를 시해합니다.

<을미사변>이라 일컫는 이 여파로 일본에 대한 분노의 민심은 들끓었으며 일본으로서도 민심이 가라앉을 때까지 일시적으로 대 조선 정책을 보류하게 됩니다.

한편 이런 상황을 간파한 미국은 알렌 공사를 통해 경인철도 부설권을 미국으로 이양해 줄 것을 고종에게 요청합니다. 이 사실이 일본에 전해지자 일본 정부는 강력히 항의했지만 고종은 이를 무시하고 미국에 부설권을 허용합니다.

경인철도 부설권을 획득한 미국은 모오스를 사장으로 하여 조선개발공사를 설립하고 1897년 3월 27일 인천의 우각현(지금의 도원고개)에서 기공식과 동시에 철도역사의 첫 삽을 뜨게 됩니다.

이미지중앙
미국인 모오스가 기공식과 더불어 야심차게 철도공사를 추진하는 동안 일본에서는 경부철도 발기위원회를 구성하고 경부철도 부설 문제를 추진하고 있었는데, 모오스로부터 뜻밖의 반가운 소식을 듣게 됩니다. 모오스가 자금 조달이 어려우니 경인철도를 함께 건설하자는 제안을 한 것이지요. 일본은 이를 즉각 받아들여 경인철도 합자회사를 만들고 사장을 모오스 대신 일본인으로 하여 사실상 일본이 경인철도 부설을 맡게 되었습니다. 당시 우리 정부로서는 이들의 행위가 괘씸했지만 그렇다고 자금을 댈 만한 사정도 되지 않아 그냥 묵인하게 됩니다.

이러한 우여곡절 속에 탄생한 경인선은 하루 2회 왕복 운행을 하다 이듬해 4회 왕복을 증차했고 한강철교가 완공된 1900년에 서울 서대문역까지 철길이 이어지면서 전 구간 개통과 동시에 하루 5회 왕복으로 증차하게 됩니다.

비싼 요금과 일본인에 대한 배척감정을 무마시키고자 경인철도 회사는 요금을 낮추고 서비스도 개선했으며 선전에도 열을 올려 차츰 승객의 수가 증가하게 됩니다. 당시 경인철도 회사가 만든 광고를 살펴보지요.

<경인철도회사 광고>
“인천은 기차 타고 가시오. 지붕과 유리창 달린 방안에서 의자에 앉아 사방 풍경을 즐기며 이야기 하다보면 어느새 인천항. 비가 오나 눈이 오나 다 남의 일. 마포나 용산 갈 시간이면 인천까지, 동대문에서 남대문까지 인력거 탈 돈이면 인천을 왕복” - 경인철도 회사 -

1899년 이 땅에 첫 선을 보인 기차 모걸1호 그리고 경부선의 첫 기차 <융희호>, 해방 후에는 <해방자호>를 거쳐 1960년대의 <통일호> <무궁화호> <재건호>, 이어서 1980년대 <새마을호>가 국토를 누볐으며 마침내 2004년 4월 시속 300㎞/h를 내는 까지 우리의 철도는 115년의 역사를 싣고 지금도 힘차게 질주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글 말미에 늘 말씀드리지만 우리의 문화는 그 시작이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어떠한 배경을 가지고 있는지 고찰되고 기록되어야 단절이 아닌 더 나은 미래 진행형이 되어 왕성한 생명을 지니게 되는 것이지요.

이번 휴일에는 자가용은 집에 두고 가족과 함께 가까이에 있는 역사로 가서 기차에 몸을 맡겨 보는 것은 어떠시겠습니까.

홍남일 한·외국인친선문화협회 이사
<저작권자 © 글로벌이코노믹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원문 URL : http://www.g-enews.com/view.php?ud=201509140728354794845_1
SNS원문 URL : http://www.g-enews.com/view.php?ud=201509140728354794845_1


프린트하기